간호취업에 쓰는자격증 바로가기
대기업이 보는 학벌표 2024 | 기업 인사팀 기준 대학 등급표 공개
📊 2024 대기업이 보는 학벌표 (인사팀 기준)
최근 대기업 인사팀 내부 인력운용 분석표(2023.01.24)를 바탕으로 정리된 ‘대기업이 보는 대학 등급표’가 공개되어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. 이는 실제 신입사원 채용 과정에서 **대학 인지도·졸업생 성과·조직 적합도** 등을 기준으로 정리된 자료로 알려져 있습니다.
🎓 2024 상반기 신입채용 기준 대학별 등급표
등급 | 대학명 |
---|---|
100 | 서울대 |
95 | 연세대, 고려대(구) |
90 | 서강대, 성균관대, 한양대, 중앙대, 이화여대 |
85 | 경희대, 한국외대, 서울시립대 |
80 | 동국대, 홍익대, 건국대, 숙명여대 |
75 | 인하대, 아주대, 숭실대, 국민대, 세종대 |
70 | 가톨릭대, 단국대, 명지대, 상명대 |
65 | 서울과기대, 한성대, 한양대(ERICA) |
60 | 부산대, 전남대, 경북대, 충남대 |
55 | 전북대, 충북대, 강원대, 경상국립대 |
기타 | 지방 사립대, 산업대 등 |
🏫 특수대학 / 과학기술특성화대
별도의 그룹으로 분류되는 특수대학은 일반 대기업 채용에서 ‘전문 기술 인력’으로 인식됩니다.
- KAIST
- POSTECH
- DGIST
- GIST
- UNIST
- KENTECH(한국에너지공대)
💡 참고:
- SAP 등 외국계 기업과 일부 반도체 대기업에서는 상위 10개 대학 외에도 이공계 연구 중심대학을 선호.
- 학점(GPA)과 어학점수, 인턴·프로젝트 경험이 실제 평가에서 더 중요하게 작용하는 경우가 많음.
- SAP 등 외국계 기업과 일부 반도체 대기업에서는 상위 10개 대학 외에도 이공계 연구 중심대학을 선호.
- 학점(GPA)과 어학점수, 인턴·프로젝트 경험이 실제 평가에서 더 중요하게 작용하는 경우가 많음.
💬 정리하자면
이 자료는 단순한 ‘학벌서열표’가 아니라, 대기업 인사팀이 지원자를 평가할 때 참고하는 기준 중 하나입니다. 즉, 대학 이름보다도 지원자의 전공역량, 인턴 경험, 어학·자격 스펙이 채용의 핵심 요소로 작용합니다.
※ 출처: 2023.01.24 대기업 인사팀 내부 운용분석 문서 / SAP 채용 참고자료